사람은 물체를 볼 때 두 눈을 사용하여 보게 되는데 정상적으로는 정면을 볼 때 까만 눈동자가 각각의 눈 가운데에 위치해야 합니다.
비정상적으로 까만 눈동자 부위가 눈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두 눈이 바르게 정렬되지 못한 상태로 있는 경우를 사시라고 합니다.
01
해부학적인 원인을 들 수 있습니다.
안와의 함몰골절에 의한 하사시, 혹은 내사시 등이 있으며 갑상선 근종, 외안근의 섬유화, 만성진행성 외안근마비증,
외안근에 대한 외상 등에 의한 경우가 포함됩니다.
02
신경학적 원인
신경학적 원인으로는 근무력증과 같은 신경근 접합부 이상에 의한 경우도 있고,
신경핵 혹은 핵아랫길의 이상에 의한 3, 4, 6 신경마비 등도 있고 신경핵간의 연결을 잇는 내측종속의 이상에 의한 핵간마비가 있습니다.
03
정확히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의 사시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간헐 외사시, 선천 내사시, 선천 외사시, 조절 내사시, 후천성조절 내사시 등이 있습니다.
<가성내사시>
동양의 소아들은 눈의 양쪽 내측 눈 구석 사이의 피부가 넓은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두 눈이 실제로 정면을 바라보지만 눈 안쪽 눈 구석 사이의피부가 눈의 안쪽 흰자위를 가리기 떄문에 앞에서 볼 때는 눈의 까만 동자가 눈의 안쪽에 몰려있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가성내사시라고 하며, 실제로 눈이 안쪽으로 몰린 것이 아닌 정상 상태이므로 치료가 필요없고 아이가 자라면서 콧등이 높아지고 눈 안쪽 구석의 피부가 콧등 쪽으로 당겨지면서 눈은 정상으로 보이게 됩니다.
<내사시>
1. 유아내사시 :생후 6개월 이내에 발생한 내사시를 말하며 대부분의 경우 눈의 까만 동자가 매우 심하게 안쪽으로 돌아가 있습니다.
2. 조절내사시 :만 2~3세경에 주로 발생하나 1세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굴절력은 약 +2.0 -+10.0D의 원시를 보이는데 발생원인으로는 원시의 경우, 물체의 상을 정확히 망막에 맺히게 하기 위하여
수정체의 조절이 생기고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협동안운동 현상에 의하여 두 눈의 모임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내사시가
되는 것 입니다.
<외사시>
1. 간헐외사시 :전체 외사시의 1/2이상을 차지하며 2~3세 이후에 나타납니다. 피로하거나 혹은 TV를 장기간 시청하거나 멍하니 있을 때 가끔씩
한쪽 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사시를 말합니다.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햇빛에 나가면 한쪽 눈을 찡그리거나 비비는 증상을
보입니다.
2. 출생 직후 혹은 청년기 이후에 발생하기도 하나 간헐외사시가 진행되어 외사시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약시의 정의는 동반되는 눈의 질병이 없으면서 최고 교정시력이 0.7(혹은 0.8)이하이거나, 양안의 시력이 시력표상 두 줄 이상 차이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종류는 양안의 굴절도가 차이나서 발생하는 부동시성 약시, 사시로 인한 사시성 약시, 눈을 사용하지 않아 생기는 폐용성 약시 그리고 선천성 질환으로 시력에 영향을 받는 기질성 약시의 네 가지로 분류합니다.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